고정된 기저 함수
원 입력 벡터 x 에 대해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분류 모델,
이러한 알고리즘들은 기저 함수들의 벡터 phi(x) 를 이용ㅎ하여 입력값들에 대해 고정된 비선형 변환의 적용,
이 결과 얻는 결정 경계는 특징 공간 phi 상에서 선형, 원 x 공간에서는 비선형일 것,
특징 공간 phi(x) 상에서 선형적으로 분리 가능한 클래스들이 원래의 관측 공간 x 상에서 꼭 선형적으로 분리되는 것은 아님,
기저 함수들 중 하나는 보통 phi_0(x) = 1 과 같이 상숫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것, 이에 해당하는 매개변수 w_0 이 편향의 역할을 하게 된다.
실제의 여러 문제들에선 클래스 조건 밀도 p(x|C_k) 들 사이에 상당한 중첩이 있다. 중첩된 부분에 대해 사후 확률들의 값이 0이나 1이 아닌 경우가 생기게 된다.
이 경우 사후 확률을 정확하게 모델하고 표준 결정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최적의 해를 구할 수 있다.
하지만 비선형 변환 phi(x) 는 이러한 클래스 중첩을 제거하지 못하고 오히려 증가시키거나 새로운 중첩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. 적절한 비선형성을 선택하여 사후 확률을 쉽게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.
이러한 한계는 기저 함수 자체를 데이터에 적응되도록 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.
'ml_intervie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terative reweighted least squares, 반복 재가중 최소 제곱법 (1) | 2024.07.15 |
---|---|
로지스틱 회귀 - 가우시안 클래스 조건부 밀도 기반 최대 가능도는 M 에 대해 이차로 매개변수의 증가, 로지스틱의 경우 M 에 대해 선형적 증가, 선형적 분리 가능한 데이터에 대해 최대 가능도 방법 사용시 과적합 문제 발생 가능 (1) | 2024.07.15 |
확률적 판별 모델 (0) | 2024.07.15 |
뉴럴 네트워크에서의 정규화 - 조기 종료 (0) | 2024.07.12 |
뉴럴 네트워크에서의 정규화 (0) | 2024.07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