좀 더 복잡한 회로를 고려해본다.
이 회로에는 아다마르 게이트 뒤에 CNOT 을 두었고, 주어진 표에 따라 4 개의 계산기저 상태를 변환한다. 분명한 예로서 아다마르 게이트는 |00> 입력을 (|0>+|1>)|0> / 2^(1/2) 로 만들고, 그 다음으로 CNOT 은 이를 (|00> + |11>)/2^(1/2) 상태로 출력시킨다. 이것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주목한다.
첫째, 아다마르 변환은 위쪽 큐비트를 중첩시킨다. 그러면 이 큐비트는 CNOT 에서 제어용 입력 역할을 하는데, 이 제어용 입력이 1일 때만 대상 큐비트가 반전된다. 이렇게 출력된 상태를 벨 상태 Bell states 라 한다. 이들 상태의 이상한 특성을 최초로 지적한 사람들(벨, 아인슈타인, 포돌스키, 로젠) 중에서 세 명의 이름을 따서 EPR 상태 또는 EPR 쌍이라고 한다.
다음의 방정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.

'양자계산과 양자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1 계산 모델 (1) | 2023.04.22 |
---|---|
3. 컴퓨터 과학 입문 (1) | 2023.04.22 |
1.3.5 큐비트 복사 회로? (1) | 2023.01.09 |
1.3.4 양자회로 (1) | 2023.01.09 |
1.3.3 계산기저 이외의 기저에서의 측정 (0) | 2023.01.09 |